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Japanese Apricot Flowers.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Jeju) on Wednesday announced that it wil continue raid illegal accommodation and tour business in 2020.

제주특별자치도는 건전 관광문화 정착을 위하여 2020년에도 불법 숙박영업행위 및 관광사범 단속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한 제재조치를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The first target is who uses unsold apartment houses, town houses, exploits farming&fishing village homestays, and so on in real estate market slump. For this, joint taskforces of civil and official staff will operate so that they can close unregistered business down and report them to tax authorities.

우선, 최근 부동산 분양 침체로 미분양 아파트, 타운하우스의 불법숙박업, 농어촌민박의 변형 운영 등으로 증가되는 무등록(미신고) 숙박업소의 불법 영업 근절을 위하여, 불법 숙박업소 민·관 합동 단속 T/F를 지속 가동하며, 무등록(미신고) 숙박영업 업체에 대해서는 영업장 폐쇄 및 세무서 고발 등 강력한 제재조치를 해나갈 계획이다.

Jeju has been running the taskforce since the late 2018, and put them into joint operations since 2019. They made raids once a week, and found 396 cases out(143 reported & 253 cases warned).

❍ 제주특별자치도는 2018년 하반기부터 행정시에 전담『불법숙박 점검 T/F팀』을 설치, 단속해 나가고 있으며, 2019년부터는 도․행정시 관련 부서 및 자치경찰단, 관광협회 등과 합동단속T/F팀을 구성, 주1회 이상 단속하여 2019년 396건을 단속하였다.(고발조치 143건, 계도 253건)

 

It will also intensify busting running unregistered tour business, hiring uncertificated guides, guiding without certificate on, transporting tourist without certficate or registration. It caught 95 cases(unregisterd tour business 17, hiring uncertificated guides 7, guiding without certificate on 4, illegal paid transportation 67) last year.

또한, 개별여행객이 많아지면서 SNS를 통한 불법 모객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단속하기 위하여

도와 행정시 및 유관기관(제주출입국·외국인청, 제주세관, 관광협회)합동으로, 무등록 여행업, 무자격 가이드 고용, 자격증 미패용, 무면허.무등록 여객운송을 집중 단속할 계획이며, 2019년에는 95건의 (무등록여행업 17건, 무자격통역안내 7건, 자격증미패용 4건, 유상운송행위 67건) 관광사범을 단속하였다.

 

It will, this year, put more efforts on arresting illegan aliens with setting up cooperation system with Jeju Immigration Office.

올해에는 특히, 제주출입국외국인청과 업무협조 체계를 구축하여 불법체류자에 대한 조치를 강화할 계획이다.

 

Illegal tour business bring chaos to the industry, damages to legal ones, inconvenience to residents, dangers to tourists, and so on, it emphasized.

불법 관광 행태는 건전관광 질서를 흐리고, 정상 관광업체의 상대적 피해 발생, 지역주민 생활불편 호소, 관광객 안전 위협 및 관광 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를 불러오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자치도에서는 지속적인 단속 활동 강화 및 적발업소에 대해 강력한 행정제재를 취하고, 고발 조치 후에 다시 영업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기적인 점검으로, 클린 관광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해 나갈 계획이다.

ㅁ 강영돈 관광국장은 “강력한 단속으로 건전한 관광질서를 만들어 나가겠다”며, “관광객들도 안전하고 안락한 제주관광을 위해서 합법 관광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제주도 홈페이지(jeju.go.kr)에 매월 게재되고 있는 관광사업체 확인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더불어 “불법 관광업체 신고 등에도 도민과 관광객들의 적극 참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by bigfool.in.jeju 2020. 1. 23. 16:3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Jeju Tourism Organization(JTO) invests 4,140 million wons(appx. 400k US dollars) to boost the local and culture torism led by local residents in 2020.

JTO, which is the brain of Jeju Tourism, announced on Monday(Jan. 20th) this with a purpose to intensively foster local tourism led by local residents to keep Jejuites and tourists happy without disruption, and expand creating their income by developing more diverse cultural tour contents and furthering public relations.

제주관광공사는 이와 같이 지역주민 주도의 지역관광 육성과 제주대표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해 올 한해 4140백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제주관광공사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도민과 관광객이 행복한 제주관광을 위해서 주민주도의 지역관광을 집중 육성해 나가고 다양한 문화관광 콘텐츠 발굴 및 홍보강화로 지역주민 소득창출을 더욱 확대해 나가고자 하고 있다.

 

JTO set 4 different strategies to complete this.

First, it will make the creation of income through village tours by introducing better local tours that local residents lead for making local economy more lively.

For details, it will have eco parties, which is unique experience tours visiting villages, in spring and autumn seasons. It will enlarge the number of participation so that this can result in buying the local tour products and special products.

And, it will allow more Jeju travel companies to join in selling 'locance(local + vacance)' products through which people can experience local villages in rural areas of counties so that the marketing target can reach to foreigners beyond Koreans.

우선 지역경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주민주도 지역관광 상품 육성을 강화하여 마을관광 소득창출을 늘려나간다.
제주마을로 떠나는 이색힐링 체험상품인 에코파티를 봄시즌과 가을시즌에 집중 개최하며, 참여관광객을 확대하여 마을관광 상품구매와 마을 특산품의 판매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부터는 읍면농촌마을에서 농가체험을 즐길 수 있는 로캉스 상품판매에 도내 여행사의 참여를 확대하여 지역관광 상품 판매를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확대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Second, it will devleop more local tour contents and promote them so that tourists can experience more local tours.

For this, it will look for more local tour resources like wellness tour contents for the health of the body and the soul, local tour programs for feeling the beauty of country areas, and so on, then increase the promotion mainly in the capital area.

This will vitalize the local tourism industry as it hightens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to Jeju, and also the use of local tour resources, JTO expects.

두 번째로 제주의 지역관광 콘텐츠를 확대 개발하고 홍보를 강화하여 관광객들이 지역관광 체험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제주에서 몸과 마음을 힐링할 수 있는 웰니스 여행콘텐츠, 읍면 농촌지역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지역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수도권 대도시 중심으로 홍보를 강화해 나간다.
이를 통해 제주방문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지역 관광자원 이용도를 높여 지역관광 활성화를 도모해 나갈 계획이다.

 

Third, it will painstakingly work out regional cultural tour contents in Jeju and proceed branding these 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tour contents of Jeju.

It will make up cultural tour products and night sceeneries which can satisfy Jeju city & Seogwipo city, Old & New downtwon areas, locality & tour trends at the same time, and then, popularize them as night cultural tour attraction of local business.

Plus, it will develop glocal contents combined with lo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promote them so that the creation of income through tour can be beneficial for more local residents, and thus this can attribute to better quality of life, it hopes.

셋째는 제주 권역별 문화관광콘텐츠를 집중 발굴하여 제주대표 문화관광 콘텐츠로 브랜딩해 나간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원도심과 신도심, 지역성과 관광트렌드가 동시에 충족되는 문화관광 상품과 야간경관 조성을 통한 지역 상권의 야간문화관광 명소화를 추진한다.
또한 지역자원과 문화자원의 접목된 글로컬 콘텐츠 개발과 홍보를 통해 지역주민에게 관광을 통한 소득창출이 더욱 확대 되고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해 나갈 예정이다.

 

Lastly, it will make use of these local & cultural tour contents to strengthen local residents' ability and domestic/international marketing for increasing the value of local tours of Jeju.

This will be done by building new networks up to generate stable demands for local tours and empowering the leaders in local tour industry through studying advanced foreign cases for local villagers. And, the domestic & international promotion, such as general introduction sessions in big cities by local people themselves, and support for promotion to increase the sales of local cultural tour products led by local people, will be intensified, too.

마지막으로 이러한 지역‧문화관광 콘텐츠를 활용하여 제주의 지역 관광 가치증대를 위한 지역주민 역량강화 및 국내외 마케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안정적인 지역관광 수요창출을 위한 신규 네트워크 구축과 지역주민 대상으로 지역관광 선진지 사례조사를 통한 지역관광 리더들의 역량강화를 도모하고,
○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도시 지역관광 통합설명회 개최, 주민주도 지역관광 상품 판매 확대를 위한 판촉활동 지원 등을 통한 국내외 마케팅활동도 강화해 나간다.

 

Yang Pilsoo, Director of Local Tourism, said "The success of Jeju tourism must come from the satisfaction of local people with income creation". He added "The strong point of Jeju tourism lies in the tour contents that use Jeju-like culture. … JTO will continue develop and promote cultural tour products representing every region in Jeju."

□ 제주관광공사 양필수 지역관광처장은 “제주관광의 성공은 관광을 통한 지역주민의 소득창출로 지역주민이 만족하는 관광지가 되어야 한다”며, “제주관광공사는 지역주민 주도의 관광상품 개발과 판매 확대를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한 “제주관광의 경쟁력은 제주다움의 문화를 활용한 관광 콘텐츠라며, 권역별 제주대표 문화관광 상품 발굴과 육성에도 모든 노력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by bigfool.in.jeju 2020. 1. 20. 15:1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source= http://www.jeju.go.kr/news/bodo/list.htm?act=view&seq=1226607

 

Do you want to know what sound represents Jeju? Now you can find it on YouTub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nounced on Wednesday that it released new promotional video clips, which is titled as 'Better Jeju+ Adding Values' on its official social media and YouTube.

해녀의 숨비소리 등 제주의 소리를 담은 감성적 영상이 공개됐다.

❑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3일부터 제주 이미지 대외 확산 전략 홍보의 일환으로 영상 홍보물, ‘보다 나은 제주⁺ 가치 더함’를 제작해 제주도 공식 SNS채널 및 유튜브 등을 통해 송출 중이라고 밝혔다.

 

They have 3 different thems such as 'Spatial Value', 'Environmental Value', and 'Future Value' for the government's objective 'Jeju Island for coexistence of humankind and nature', and made in 4 languages as Korea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 영상은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청정 제주’ 라는 제주도정 목표를 주제로 ‘공간가치’, ‘환경가치’, ‘미래가치’ 등 총 3편이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4개 국어로 언어로 제작되었다.

source= http://www.jeju.go.kr/news/bodo/list.htm?act=view&seq=1226607

They are made to present emotional images of Jeju through creative frames and detailed screen, rather than giving just information by showing one image after another. The sound of Jeju, i.e. of the wind in forests, the waves, Sumbisori of Haenyeo, etc. were recored and added to the video, Jeju emphasized.

❍ 송출 중인 영상은 이미지 나열식 단순 정보 제공 차원을 벗어나 차별화된 화면 구성과 디테일한 모습 등을 통해 감성적인 제주 이미지를 연출 하였고, 숲속 바람소리, 파도소리, 해녀의 숨비소리 등 ‘제주의 소리’를 직접 채집하여 영상에 가미한 것이 특징이다.

 

Especially, it feels more dramatic when more than 100 Jeju people from Jeju Provincial Seogwipo Quoir and Seogwipo United Quoir sings Beethoven's 'Ode to Joy' with Jeju Stone Park in the background, it pointed out.

❍ 특히 돌문화 공원의 장엄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도립 서귀포 합창단, 서귀포연합성가대의 도민 100여명이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 ‘Ode to Joy’를 함께 부르는 장면을 연출해 감동을 배가시켰다.

source= http://www.jeju.go.kr/news/bodo/list.htm?act=view&seq=1226607

You can watch them on its official YouTube channel at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K3Y3iQYU3zec2N1yhcLLqHlH3aEQcCcY

 

Jeju also underlined to that they provide viewers with hidden sceneries in Jeju, the information of locations, behind-the-scenes, bloopers, and so son, while tagging frequently searched keywords for adults aging form 18 to 64, to give more to and draw attention of people.

❑ 제주도는 이외에도 18세에서 64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노출빈도수가 높은 동영상 키워드를 설정하는 한편, 제주의 숨겨진 비경, 촬영장소 소개, 뒷이야기, NG모음 영상 등을 제공해 시청자들의 재미와 관심을 유도하는 등 동영상 알리기에도 노력했다.

by bigfool.in.jeju 2020. 1. 16. 14:4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12월 15일자 제주신문 주요 기사


우여곡절 끝에 통과는 됐습니다.
-道 예산안 4조1028억원 통과
원 지사, 60개사업·13억 일부 부동의
도의회, 표결 처리…예산파국은 피해
http://www.jeju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013



하지만,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 결과라는군요.
-막판 진통끝 통과는 했지만…
예산안 심사에서 구태 되풀이 여전
도의회, 도 예비비까지 삭감해 증액
元 ‘일부 부동의’ 개혁의지 의문증액
http://www.jeju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009



-‘다운 또는 업계약’ 예의주시
도대책본부, 허위신고 정밀조사 돌입
“적발사항 세무서 통보 등 강력 조치”
http://www.jeju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99



-제주관광 마케팅 효과 ‘톡톡’
올해 내·외국인 관광객 1300만명 돌파
한류 이벤트·홍보 캠페인·페스티벌 등
http://www.jeju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004


by bigfool.in.jeju 2015. 12. 14. 19:4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10월 19일자 제주신문 주요 기사.


제주도 관광버스 기사들이 메르스 때문에 타격을 입었다가
이제 다시 넘쳐나는 스케줄에 정신을 제대로 못 차리고 있다고 합니다.
-‘냉탕과 온탕 오가는’ 전세버스
“호황에도 마냥 웃을 수 없어”
수요 급증으로 시간에 쫓겨 운행
http://www.jeju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828



서귀포서에선 이런 일이 있었군요.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었습니다.
-경찰간부 기강 해이 ‘이래서야’
서귀포시 학교폭력 담당…수색활동 중 음주
경찰청 감사, 시간외 수당 부정수령 사실도
http://www.jeju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826



농사는 정말 하늘의 뜻일까요?
월동채소 가격 폭락을 막기 위해 경작량을 줄였더니,
날씨가 너무 좋아 오히려 출하량이 더 늘게 생겼다니!
-채소류 값 하락 우려 ‘어쩌나’
좋은 기상여건으로 면적 감소속 풍작
제주시, 출하량 조절 등 대책 ‘주문’
http://www.jeju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798



공사 현장에서 인부들 임금도 제대로 안 챙겨주는 업체.
소위 '바지사장'을 내세워 책임에서 쏙 빠지는 업계 관행.
근본적인 대책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밀린 공사대금 내놔라” 유치권 행사
도심 호텔 신축현장 인부 10여명
수천~수억원 미지급 임금 요구
업체, “정산 늦어 그런 것” 해명
http://www.jeju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819


by bigfool.in.jeju 2015. 10. 18. 19:2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