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responsible에 해당되는 글 2건
- 2020.05.30 Jeju Has 15th COVID19 Patient
- 2020.01.14 US knew of 'Scorched Earth Policy' in Jeju
Jeju confirmed it has the 15th coronavirus case on May 30th.
According to its announcement late at night, a woman(34) tested positive at about 7:10pm.
She came to Jeju on the 29th via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t 5:30pm same day from the US. And she visited Seogwipo healthcare center next day at around 2:00pm.
She told the authority she rode to home from Jeju airport, and stayed self-quarantined till getting test.
<제주도내 15번째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안내>
미국발 입국자 A씨(34세, 여)가 30일 오후 7시 10분경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았습니다.
A씨는 5월 29일 오후 5시 30분경 미국에서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뒤 같은 날 오후 10시 20분경 제주에 입도하였으며, 30일 오후 2시경 서귀포보건소를 방문하여 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A씨는 제주공항에서 자가용을 이용해 자택으로 귀가한 후 자가격리에 들어갔으며, 검사 전까지 외부활동이나 이동은 없었다고 진술하였습니다.
Shinsegae Duty Free Drops Jeju Project (0) | 2020.06.02 |
---|---|
It's Not The 15th COVID19 Patient That Matters In Jeju (0) | 2020.06.01 |
Jeju's Two Big Tax-free Shops Are Closing Temporarily (0) | 2020.05.28 |
The New Magpie's Tapdong (0) | 2020.05.27 |
Jeju Chusa Hall Celebrates The 10th Anniversary From June (0) | 2020.05.26 |
General praised "excellent top-level thinking"... Jeju43Peace Foundation found documnets at NARA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advisory group in Korea considered the opposers to the 5.10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as 'criminals', and evaluated the scorched earth policy against the Jejuites as an excellent operation, Jeju43Peace foundation revealed.
미군정과 주한미군사고문단은 5·10선거를 반대하는 사람들을 ‘정치범’ 수준을 넘어 ‘범죄자’로 취급했으며, 제주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초토화작전을 훌륭한 작전으로 평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The foundation on Jan 11 said that an in-depth research has been completed with over 38,000 pages of documents related to the April 3rd Incident, which they found and obtained at NARA for 6 months by a team of 3 members.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양조훈)은 조사연구실(실장 양정심) 주도로 지난해 미국자료현지조사팀(팀장 김기진) 3명을 구성, 6개월 동안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을 중심으로 4‧3 관련 자료를 조사한 결과 관련 기록 3만 8천여 매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These records have a great meaning as they contain direct perception of the senior officers at the US military adminstration and advisroy group, and expose that the high-ranking officers in the US government and military shared and knew of these information, the organization analysed.
이번에 확보한 자료 중에는 미군정과 군사고문단 수뇌부의 인식을 직접 기록한 자료들이 많고, 이런 정보를 미 정부 및 군 최고수뇌부가 공유, 인지하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For details, the debate got heated up over the definition of 'political prisoner' between LTG John R. Hodge, the then chief of the US military adminstration and UNTCOK(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at the meeting at Deoksugung Palace on March 3, 1948, according to a SCAP(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report.
연합군최고사령부(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SCAP) 자료에 따르면, 미군정의 최고책임자인 하지(Hodge) 중장은 남한의 단독선거를 앞둔 1948년 3월 3일 UN임시위원단과 덕수궁에서 가진 회의에서 ‘정치범(political prisoner)’에 대한 정의를 놓고 극심한 논쟁을 벌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written in the document UNTCOK pointed about the opposing group to South Korea's separate election saying "They can either consent or dissent election in a democratic country. So we can see them as 'political prisoners'". But, LTG Hodge strongly opposed arguing
"How can we call them as political prisoners who kill people and destroy assets because someone disagree to election? Their motivations may be political, but they are nothing but criminals".
UN임시위원단은 남한의 단독선거를 반대하는 세력에 대해 “민주주의 국가에서 선거는 찬성도 반대도 할 수 있으니 그들을 ‘정치범’으로 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나 하지는 “선거를 반대한다는 이유로 사람을 죽이고 재산을 파괴하는 자들을 어떻게 정치범이라고 부를 수 있는가. 동기는 정치적일지 모르나 범죄자일 뿐이다”라며 강력하게 맞섰다.
The committee refuted this by asking "Will it be same if the right wings do the thing?" and LTG Hodge answered "Yes." to this. 'Political prisoner' and 'criminal' cannot help but show a big difference in how to deal with them.
임시위원단은 “우익세력이 그런 행동을 해도 마찬가지냐”고 따졌고 하지는 “그렇다”고 답했다. ‘정치범’과 ‘범죄자’는 대응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The Hodge's answer can give us a clue to the background of the indiscriminate slaughter in Jeju, where people were against the 5.10 General Election, by the Korean military & police and right-wing groups under the command of the US forces, the foundation put an importance on it.
하지의 이 같은 답변은 5‧10선거를 반대한 제주지역에서 미군의 지휘 아래 한국 군경과 우익단체에 의한 무차별 학살이 저질러지게 된 배경을 설명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documents of FECOM(Far East Command), aka McArtur Command, that was the higher than the 24th Corps which stationed in South Korea, wrote that 70 US Army staff were in Jeju as of May 1948, about a month after the April 3rd Uprising.
남한에 진주했던 24군단의 상위기관인 미 극동군사령부(Far East Command, 일명 맥아더사령부) 문서에 의하면 4·3봉기가 일어나고 한 달가량 지난 1948년 5월 제주에는 미군 70명이 주둔하고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The US State Department document on July 2nd, 1948, recorded Joseph E. Jacobs, the political advisor to LTG Hodge, reported to DoS, on the basis of COL. Rothell H. Brown who was the commander-in-chief in Jeju, that "about 80% of the population are connected or adhere to the Communist set up throught fear."
1948년 7월 2일자 미 국무부 문서에는 하지의 정치고문 제이콥스(Joseph E. Jacobs)는 제주의 최고지휘관 브라운(Rothell H. Brown)대령의 보고를 바탕으로 제주도민의 80%가 공산주의자와 관계되어 있거나 공포 때문에 그들과 협조하고 있다고 국무부에 보고한 내용도 담겨 있다.
The words meaning so-called 'scorched earth policy' like 'cleaning-up' in Jeju frequently appear in the US military reports by BG William L. Roberts, Chief of the Military Advisory Group to Korea and on many other one. BG Roberts, in the reply on the January 28th, 1949, highly praised CoS Chae Byungduk's letter on "the order to the Korean Army and Navy, dated 26 January, which directed a campaign in cleaning-up of Communists and the movement of one additional battalion to Cheju for reinforcement purpose" to be "excellent top-level thinking".
주한미군사고문단장 로버츠(Roberts) 공한철 등 미군 보고서에는 제주도에서 소위 초토화작전을 의미하는 ‘싹쓸이(cleaning-up)’ 등의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미 극동군사령부 문서에 의하면, 로버츠 준장은 1949년 1월 28일 “공산주의자들을 싹쓸이하기 위해 제주에 1개 대대를 추가 파병하겠다”는 채병덕 참모총장의 서한에 대해 “최고 수준의 사고(top level thinking)”라고 극찬했다.
A FECOM INTSUM(Intelligence Summary) simply wrote the US Army mentioned "They need to be brought to the attention" when Minbodan, an extreme right-wing group, stabbed 76 people to death on February 20th, 1949. This is different from LTG Hodge's answer about right-wing groups' activities.
극동군사령부 정보요약 보고에서도 우익세력의 행위에 대한 하지의 답변과는 달리 미군은 1949년 2월 20일 제주에서 민보단이 76명의 주민들을 창으로 찔러 살해했을 때 “그들에게 ‘주의(brought to the attention)’를 줄 필요가 있다”는 정도로 사건을 마무리 짓고 있다.
In the FEMCOM documnet on July 21st, 1949, people were accused as 'Communists', who came down from the mountain by the open arms program and pardon policy by COL Yu Jaeheung. It is recorded "Trials for approcimately 2,000 Communists were completed recently on Cheju Island. Approcimately 1,650 persons received prison sentences ranging from 20 years to life imprisonment, while 350 received the death penalty."
극동군사령부 문서 1949년 7월 21일자에는 유재흥 대령의 귀순공작과 사면정책에 의해 하산한 사람들도 ‘공산주의자’로 몰아세우고 있다. 즉 “약 2천 명의 공산주의자들(Communists)에 대한 재판이 제주도에서 최근 진행되었다. 350명의 사람들이 사형을, 약 1천 650명이 20년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Compared with the fact that some of the sentenced by the April 3rd court martial got the verdict of 'dismissal of the indictment' which is as good as 'not guilty', and national indemnity last year, it turned out clear that the US military turned a blind eye to framing the innocent as 'Communists', thus, illegaly bringing to the court, and inflicting creul treament.
이들 4‧3 군사재판 수형자중 일부가 지난해 한국 법원에 의해 무죄나 다름없는 공소기각과 국가보상판결을 받은 것과 비교하면, 당시 미군은 ‘공산주의자들’이란 누명을 씌우고 불법적인 재판과 가혹행위를 가해도 용인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These perception of the senior officers in the US military was exactly same with President Rheh Syngman's as "Dr. RHEE claimed that the Communists could not be dealt with by normal legal means" (in the FEMCOM document on May 15th, 1948). Rhee also appealed this during the meeting with an officer of the Inteligence Office of FEMCOM.
미군 최고수뇌부의 이런 인식은 “공산주의자는 통상의 법률적 방법으로 다뤄선 안 된다”던 이승만의 인식(1948년 5월 15일자 극동군사령부 문서)과 정확하게 일치했다. 이승만은 극동군사령부 정보국 담당자와의 면담에서도 이를 피력했다.
The 43Peace Foundation has also set a ground stone for '43 Archives' by collecting the documents of over 38,500 pages by scanning all of them for this research.
4·3평화재단은 이번 조사에서 3만 8천 500여 매의 기록물을 모두 스캐너를 이용해 수집함으로써 ‘4·3 아카이브’ 구축의 토대도 마련했다.
This work in the US was resumed after 18 years since 2001. They published the result, but its value as a hard proof got lessened as it didn't have sources according to NARA's classification system. The new research, however, made more credible as they find exact source of every document, the foundation pointed out.
미국자료 조사는 2001년 4·3위원회가 실시한 이후 18년 만에 재개된 것이다. 그때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출간된 위원회의 미국자료집은 NARA의 분류체계에 따른 출처를 밝히지 않음으로써 증거자료로서의 가치가 반감됐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해당 문서들의 출처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증거력을 되살린 것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Plus, they searched and collected mainly the documents of upper organizations, i.e. FEMCOM, SCAP(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 Department of State, etc., while it was limited to USAMGIK(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d USFK(US Forces in Korea) and so on, which stationed in South Korea.
그리고 2001년에는 주한미군정청·주한미군 등 남한에 진주했던 미군정·미군 문서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이번 현지조사에서는 미 극동군사령부, 연합군최고사령부, 국무부 등 상위기관의 문서들을 중점적으로 조사·수집했다는 의미가 있다.
Meanwhile, the research team requested to G-2(Intelligence) of Department of the Army, for declassification of Jeju files still kept secret, but failed receiving an answer till now as they returned to Korea. Principally, NARA has to make official documents over 30 years public according to 'Freedom of Information Act'. But, there are still too many documents to be opened public with the reason of lack or human resources or politics.
한편 미 육군정보참모부 문서에는 비밀해제가 안된 제주 관련 파일들도 파악되어 비밀해제를 신청했지만 조사팀의 귀국 때까지 회신을 받지 못했다. NARA는 정보공개법에 따라 30년이 지난 공문서들은 공개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방대한 문서들이기에 인력의 부족이나 혹은 정치적 이유 등으로 비밀해제가 되지 않은 문서들도 많이 있다.
Jeju43Peace Foundation has a plan to expand the research to the US Army CMH(Center of Military History), Harry S. Trum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Korean Institutes at the US Universities, and so on, while keeping trying to request the declassification of the military documents with the field research team running this year.
4·3평화재단은 금년에도 미국자료현지조사팀을 가동, 미군자료의 비밀해제 요청을 계속해가면서 조사대상을 NARA 이외에 미육군군사연구소, 트루먼도서관과 미국 소재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It will also publish 'the US documents on the April 3rd Incident' at the end of this year, after sorting out the new materials and the previous one that has no clear sources.
4·3평화재단은 올 연말에 이번 수집자료와 이전에 입수한 자료 가운데 출처가 불분명한 자료들을 정리해서 ‘4‧3 미국자료집’을 편찬할 예정이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