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특별히 성 대상이 되는 것이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는 거짓말, 혹은 사고에 대해 말하고자 합니다."

  헬드만 교수는 성 대상화가 너무나 만연해서 많은 젊은이들이 이를 다음과 같이 인식하는 것조차 힘들어한다고 설명했다: "그것은 붉은 방에서 자란 다음에, 그 방에서 끌려 나간 뒤 붉은색에 대해 설명하라는 것과 같습니다". 헬드만 교수는 미국 문화가 성적 대상이 되는 것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가르치기 때문에 여자애들이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것이 실제로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 믿으며 자라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헬드만 교수에 따르면 대상화가 사회에 미친 결과는 긍정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며, 여성들에게 생긴 부작용에는 체형 혐오, 우울증, 섭식 장애, 낮은 자존감 그리고 성적 쾌락 감소까지 포함된다.

  실제 일어나는 일에 관여하고 참여하는 대신, 여러분 자신을 제3자의 시각에서 바라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중의 관점, 드러난 지방덩이에 걱정하고, 그 다리가 어떻게 보이는지... 이런 것들이 성적 쾌락 사이에 끼어듭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왜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문화에서 살고 싶지 않을지 그 이유를 꼬집어 말할 수 있는 길이 있다면, 그것이 여러분의 성적 쾌락을 감소시킨다는 겁니다.

  헬드만 교수는 다른 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나의 이미지가 성적으로 대상화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7단계 측정법을 창안해냈다. 다음 질문에 '예'라는 답을 하게 되면 하나의 이미지가 성적으로 대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사진이 성 대상화한 신체의 일부만을 보여주는가?

          사진에서 성 대상화한 신체가 사물 대용으로 자리하고 있나?

          사진이 성 대상화한 인물을 교체 가능한 것으로 보여주는가?

          사진이 성 대상화한 인물의 신체의 고결함을 침범하고 있다는 동의하기 힘든 생각을 확신시켜 주나?

          사진에서 성적으로 접근 가능성이 인물의 결정적인 특징임을 제안하고 있는가?

          사진이 성 대상화한 인물을 하나의 상품으로 보여주는가?

          사진이 성 대상화한 인물의 신체를 캔버스처럼 다루는가?


  아마도 동영상에서 가장 강력한 부분은 말미에, 헬드만 교수가 시청자들에게 대상화하는 문화 속에서 길을 찾고, 결과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관객들에게 "다른 세상을 상상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시청해 보기를 강력히 권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