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이젠 샘플링(sampling) 기법을 많이 쓰고 있는데, 초기에는 개념이 생소했고, 작곡자들도 굳이 설명을 안하다 보니 표절 논란도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이 강연에서 음악제작자로 활약 중인 마크 론선(Mark Ronson)은 샘플링이 단순히 기존의 음악을 차용한다기 보다는 그 음악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독립적인 개별 작품으로 완성하는 것이라고 얘기한다. DJ로서의 재능을 활용해 특정한 곡이 샘플링을 통해 전에 들어본 적 없는 신곡으로 탄생하는 과정을 잘 들려준다. (자막은 여기로)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캡슐커피가 간편함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재활용률이 떨어져 환경에는 피해를 주고 있다는 기사가 쿼츠(Quartz)에 올라왔다. 단순히 플라스틱이라 재활용이 쉬울 것 같은데, 미국 그린 마운틴 사 제품의 경우 불과 5%만이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쓴다고 한다. 관심 가질 만한 내용이다.
1회용 캡슐 커피 - 미국에서 큐릭(Keurig)사가 최초로 대중화시킨 종류로 K-컵스라고 많이 알려진 종류 - 판매가 2011년 이후 3배 이상 증가했다고 마켓워치(MarketWtch)가 지난해 11월 보도한 적 있다. 전미커피협회(NCA)의 조사에 따르면, 1년 전, 미국인의 13%가 매일 캡슐 커피 메이커로 만든 커피를 마셨다. K-컵스 혼자만 해도 현재 미국 분쇄 커피 시장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선트러스트(SunTrust) 은행의 한 분석가는 지난해 밑에처럼 눈길을 끄는 차트를 공개했다.
+
"캡슐커피 기계가 회사에서 그리고 아파트에서도 더 많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모닝스타(Morningstar)의 부(associate) 주식분석가 켄 퍼킨스(Ken Perkins)는 지난해 가을 마켓웟치(MarketWatch)에서 말했다.
사실, 캡슐커피는 어디에서나 출현하고 있다. 시장 조사 회사인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만, 캡슐커피 기계 판매는 지난 6년간, 2008년 180만대에서 2013년 1천160만대로 6배 이상 늘었다. 그러는 동안, 드립커피 기계 판매는 꽤 정체를 맞았다.
+
이러한 대유행은 미국에서만 특별한 것은 아니다. 사실,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유럽에서는 훨씬 더 보급이 됐다. 캡슐커피 기계 판매는 지난해 처음으로 서유럽에서 드립커피 기계 판매 대수를 넘어섰다.
+
이 모두가 캡슐커피 제조사 이익에 큰 부분이다. 2006년에 큐릭 사를 인수한 그린 마운틴(Green Mountain) 사는 수익 면에서 '땅 짚고 헤엄치기'를 하고 있는데, 지난 해 약 5억달러의 순수익을 올렸으며, 이 중 대부분이 캡슐커피와 기계 판매에서 왔다. 네슬레도 네스프레소 캡슐커피 기계로 두둑하게 30%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paywall). 2012년 기준으로, 네스프레소는 세계적으로 270만 캡슐 이상을 팔아치웠다. 네스프레소 기계는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 중이라 전 세계 미슐랭 선정 식당 700여개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캡슐커피의 인기와 관련 환경에는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머더 존스(Mother Jones)에 따르면, 그린 마운틴이 제조하고 있는 소형 캡슐커피의 5%만이 현재 재활용되고 있다. 기타 95%는 재활용이 불가한 합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해당사는 이런 단점을 잘 알고 있으며, 2020년까지 모든 캡슐을 재활용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의 비영리 단체인 에콜로지 센터(the Ecology Center)의 마틴 부르케(Martin Bourque) 원장은 지난해 이스트 베이 익스프레스(the East Bay Express) 지와 인터뷰에서 "커피 한 잔을 만드는 방법은 12가지나 있다"고 말했다. "최선의 방법은 다량의 커피가 세척하고 수천번이나 재사용하는 컵에다 따르고, 커피 찌꺼기는 비료용이나 버섯 재배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게 최고의 시나리오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바로 캡슐커피"라고 그는 밝혔다.
엄청난 양의 캡슐커피 폐기물이 휘청거리고 있다. 머레이 카펜터(Murray Carpenter)가 그의 저서 '카페인 중독(Caffeinated)'에서 지적했듯이, 2011년 폐기된 K-컵스로 지구를 6바퀴나 돌 수 있고, 2013년 분량으로는 10바퀴 이상을 돌 수 있다. 캡슐커피 산업 전반에 걸쳐, 미국에서 해마다 수억 파운드의 재활용 불가 쓰레기가 만들어지고, 사용된 뒤 버려지고 있다.
Dim lights are meant to prepare you for evacuation, not sleep.
"야간에 비행기 착륙시 조명을 낮추는 건 착륙 때 대피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다. 당신의 시각이 이미 어둠에 적응이 돼서 비행기 밖에 나설 때 더 잘 볼 수 있게 된다." --@bonestamp
- 기내 화장실은 밖에서도 열 수 있다
You can unlock a lavatory from the outside.
- 당신은 엔진 공기로 숨쉬는 것이다
You're breathing engine air.
"기내에서 숨쉬는 공기는 실제로는 엔진에서 취하는 압축 공기이다. 상당 부분(25%~50%)은 조종실로 들어가고, 나머지는 승객용이다. 이 공기는 동체 뒤쪽에 나 있는 조그만 구멍을 통해 이탈한다." --@virgadays
- 기내 담요는 세탁이 안 돼 있다. 또한, 좌석 뒤 접이식 테이블엔 똥이 묻었을지도 모른다
Those blankets have NOT been washed. Also, there's a solid chance your tray table has poo on it.
미국에서 항공승무원으로 일했던 사람 얘기로, 담요와 베개 씻는 걸 한 번도 본 적이 없으며, 접이식 테이블 위에 애기 기저귀를 올려놓는 경우를 자주 목격했지만 세척하는 걸 못 봤다고 한다.[각주:1]
- 기장은 비행 도중 당신을 체포할 수 있다
The captain is allowed to arrest you mid-flight.
"비행기 문이 닫히면 기장은 거의 무한의 권한이 있다. 사람을 체포할 수 있고, 벌금을 매길 수도 있으며 죽어가는 승객의 유언을 받아 적을 수도 있다." --@virgadays
- 이륙 후에 1등석으로 상향 조정 가능하다
You can be upgraded to first class after takeoff.
기체 문이 닫히면 비지니스석이나 1등석으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어느 승무원의 증언. 하지만, 자주 하지는 않는데, 이유는 사유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식사가 충분해야 하며, 좌석이 꽉차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대상은 극단적으로 멋진 사람, 옷을 잘 차려입은 사람, 임신부, 키가 매우 크고 잘 생긴 사람, 승무원 친구이거나 모든 사항 해당자라고.
- 비행 중 조종사들은 잠을 잔다
Pilots fall asleep while they're flying.
조사대상인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의 조종사 가운데 43%~54%가 여객기 모는 도중 잠을 잔 적 있다고 밝혔다고 한다.
- 승객 중엔 구명의를 훔치는 사람도 있다
People steal the lifejackets.
- 승무원이 비행기에서 밀쳐날 경우를 대비해 꽉 쥐는 핸들이 있다 There are hold-on handles in case flight attendants get shoved off the plane.
문 옆에 있는 핸들, 만약의 사태에서 혼비백산하는 승객이 대피작업을 벌이는 승무원을 밀쳐낼 경우를
- 콜라 요청할 때 캔을 달라고 할 수 있다[각주:2] You can ask for the whole can of Coke.
- 비상시 쓰는 산소 마스크는 15분간만 지속된다
Those masks only give you 15 minutes of air (kinda).
그에 따르면, 지금까지 알려진 정보 중에서 "핵심은 좌선회(The left turn is the key here)"라고 썼다. 또한 "본능적으로 기장이 공항으로 향하고 있었음을 알았다"고도 했다.
When I saw that left turn with a direct heading, I instinctively knew he was heading for an airport. He was taking a direct route to Palau Langkawi, a 13,000-foot airstrip with an approach over water and no obstacles. The captain did not turn back to Kuala Lampur because he knew he had 8,000-foot ridges to cross. He knew the terrain was friendlier toward Langkawi, which also was closer.
좌선회 후 직진한 것을 봤을 때, 나는 본능적으로 기장이 공항으로 향하고 있었음을 알았다. 그는 해상으로 접근 가능한데다 장애물이 없는 1만3천ft 길이 활주로가 있는 팔라우 랑카위로 가는 직선로를 타고 있었다. 기장은 8천ft 높이의 산맥을 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쿠알라 룸푸르로 회항하지 않았다. 그는 랑카위로 가는 것이 가깝기도 하고, 지형이 더 우호적임을 알았다.
ⓒGoogle Maps
ⓒGoogle Maps
ㅇ무엇이 문제였을까?
굿펠로는 1991년 7월 11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를 출발해 나이지리아 소코토를 향해 출발한 나이지리아 항공의 2120편(C-GMXQ)이 이륙 직후 추락한 사건(Nigeria Airways Flight 2120)을 근거로 들었다.
2120편은 당시 2번과 4번 타이어 공기압이 불충분한 것이 원인이 돼서 바퀴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부근의 장비가 고장나면서 조종 불능 상태로 추락, 247명의 승객과 14명의 승무원 전원이 사망했다.
Remember: Heavy plane, hot night, sea level, long-run takeoff.
명심하라: 무거운 비행기, 뜨거운 밤기운, 해발 고도, 장거리 이륙.
What I think happened is the flight crew was overcome by smoke and the plane continued on the heading, probably on George (autopilot), until it ran out of fuel or the fire destroyed the control surfaces and it crashed. You will find it along that route–looking elsewhere is pointless.
무슨 일이 있었는가에 대한 내 생각은 승무원들이 연기에 압도가 된 채 비행기는 아마도 조지(자동조종) 상태로, 연료가 떨어지거나 조종판을 파괴해 전진을 계속해 결국은 충돌했을 것이다. 이 항로를 따라가야 비행기를 찾지, 다른 곳을 뒤지는 것은 의미가 없다.
ㅇ마지막 교신까지 모든 것이 정상
마지막 교신에서 기장은 "잘 자라(Good night)"는 "온전히 평범한(entirely normal)" 인사말을 남겼다. "기내 모든 것이 OK(all was OK on the flight deck)"였음을 알려주는 강력한 암시임을 굿펠로는 강조했다. 위험 상황임을 감지했다면 이를 알리는 비밀 신호를 보냈을 거라는 점도 덧붙였다.
운항정보교신시스템(ACARS)을 인위적으로 끄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도 화재로 인해 장비가 먹통이 됐을 가능성을 뒷받침해준다. 1998년 캐나다 노바 스코샤 주 인근 해역에 불시착한 스위스 항공사 DC-10기의 사고 경우가 가장 유력한 방증이 된다. 당시 뉴욕의 케네디 공항 이륙 약 1시간 후 기내에 화재가 발생했다. 조종사가 통신회로를 당겼을 때[각주:1], 신호송출기와 통신이 두절됐다(!).
고도가 오르락내리락했다는 보도를 듣고는 '기장이 진화를 위해 산소가 희박한 고고도로 올라갔다가 통제력을 잃었거나 화재 진압을 위해 급강하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분석했다.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장면이 실제로 일어났을 수 있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런 가설을 토대로 연료 소비속도를 계산하면 만약 비행기가 추락했을 시 그 지점을 대략 예측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수색을 계속해야 효과적일 수 있다는 내용도 있다.
ㅇ기장의 시각에서 분석하라
굿펠로는 기장이 사투를 벌여 승객들을 살리려 애썼을 지도 모르는데, 기장에 대해 각종 음해성 소문이 들고 명성에 해를 끼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봤다. 그는 "마음 속에 추호의 의심도 없다(There is no doubt in my mind)'고 강조했다.
"as they pulled the busses"의 해석.
'busses'가 통신용 선로를 의미하는 것 같은데, 어떤 개념인지 이해할 수가 없다. 알면 말해주시라! [본문으로]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사라예보 사건'과 함께 시작했다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의 혼잡한 양상 가운데 세계를 울린 단 두 발의 총성으로 그제껏 인류가 겪어보지 않은 새로운 전쟁이 반발했다. 그런 만큼 이를 단순히 설명하기는 쉽지 않은데, 영국(으로 알고 있다)의 한 역사 교사가 그 전개 과정을 술집 싸움으로 비유한 것이 화제가 됐다.
달콤하지만 '날카로운 첫 키스'. 그러나, 사랑하는 사람이 아닌 전혀 낯선 이와 나누는 첫 키스라?
조지아 출신의 타티아 플리예바(Tatia Pllieva)라는 작가가 20명의 사람에게 낯선 사람과 키스를 하라는 이상야릇한 요청을 했다. 촬영에 응한 사람들을 보면 모두들 왠지 어색한 느낌으로 시작한다. 자기들만의 방식으로 이를 조금은 친근한 분위기로 이끌어내고는 키스를 한다.
키스 방법은 모두가 다르다. 아직도 어색함이 묻어 나오기도 하고, 생애 첫 키스처럼 움직이기도 하고, 정말 능숙한 애인 사이의 키스를 하기도 한다.
그로 인한 결과도 모두 다르다. 하나의 과제를 수행한 듯 흐름이 바로 끊겨 버리는 짝도 있지만, 키스 뒤 헤어지는 연인들처럼 손을 놓지 않는 커플도 있다. 키스의 힘이다.
키스란 두 사람을 너무나 가깝게 하기 때문에 서로의 결점을 하나도 볼 수 없게 하는 수단이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