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강한 러시아'를 표방하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서 전략 요충지인 크림 반도 쪽으로 결국 군병력을 동원했다는 소식이다. 푸틴 대통령을 비롯한 러시아 권력층에는 과거 소비에트 연방(소련)에 대한 강한 향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당시 연방 국가를 다시 영향권 아래 두기 위해 여러 '당근과 채찍'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09년 조지아 침공처럼 무력 사용은 절대 주저하지 않는다.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글로벌포스트에서 이번 사태와 관련, 러시아가 인접한 구소련 국가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There are the ways Russia exerts control over its neighbors)을 소개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헝가리: 러시아가 2기의 핵융합로를 건설하기로 서명

2. 체코: 러시아 회사 LUKoil 이 밀로스 제만(Milos Zeman) 대통령의 정당에 자금을 후원. 러시아는 새 핵융합로 건설 입찰에도 참가

3. 세르비아: 러시아 회사인 Gazprom이 세르비아 국영 정유사 및 개스회사 소유

4. 몰도바: 자체 군사를 보유한 친러 성향 휴가지역을 후원

5. 조지아: 2008년 침공한 뒤 5일 간 전쟁에서 스스로 독립을 선포한 친러 성향 분리독립 지역 두 곳을 지지

6. 독일: 러시아는 최근 독일까지 천연가스 수송관을 건설. 평론가들은 이것이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에 대한 의존성을 확고히 하는 일이라고 평가

7. 불가리아: 흑해를 통해 불가리아와 유럽 기타 지역으로 연결되는 천연가스 수송관을 새로 지으려는 계획을 수립하는 중

8. 아르메니아: 최근 러시아 주도의 관세동맹을 지지해 EU와의 무역 및 협력 관계를 거절하게 함

9. 벨라루스: 러시아 주도 관세 동맹의 동맹국

10. 카자흐스탄: 마찬가지로 러시아 주도 관세 동맹국


These are the ways Russia exerts control over its neighbors

Ukraine is just one piece of the Russian plan.


by bigfool.in.jeju 2014. 3. 3. 18:4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영화 '또하나의 약속'은 거대기업의 부도덕성을 다시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변호인'은 부정한 정권의 폭압성을 다시 알렸다. 그래서 사람들이 관련 사건에 관심을 갖게 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관련 내용을 잘 몰랐던 출연 배우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들이 역할을 한 건데, 허구의 내용일지라도 다르진 않다. 영화에서 묘사하고 있는 인물이나 사건이 현실적이라면 이것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포레스트 검프(Forrest Gump)'가 그렇다는 소식이 있다.


All Rights Reserved.

이 포레스트 검프가 맞다.


 영화에서 월남전에 참전한 포레스트의 상사로 나오는 댄 테일러 역을 맡은 배우 게리 시니즈가 상이용사들을 위한 여러가지 사업을 벌이고 있다는 내용이다.


허리케인 부는데 저랬던 분이다


 영화 촬영 이후 재단(Gary Sinise Foundation)을 설치해 관련 활동을 해오고 있다고 한다. 지난달 초에는 아메리칸 항공(American Airlines)과 디즈니(Disney)와 제휴해 50명의 상이용사를 초청, 디즈니랜드와 패러마운트 스튜디오를 구경시켜줬다고 한다. 우리가 말하는 '개념 있는 배우'의 행동이다. 우리나라에도 이런 사례가 좀 있을 것 같은데, 누구를 예로 들 수 있을까?


Gary Sinise Remains Inspired By His 'Forrest Gump' Character, Brings Wounded Veterans Joy


by bigfool.in.jeju 2014. 3. 3. 17:3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피신하고 야당이 정권을 잡으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국가행사 동계올림픽이 끝난 러시아가 과도정부를 "테러리스트" 운운하면서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인종/종교적으로 복잡한 우크라이나가 이 역경을 벗어나 어떤 길을 걸을지 세계[각주:1]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포스트에서 지난 21일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의 핵심 인물과 집단을 소개하는 글을 실었다. 향후 사태를 지켜보는데 도움이 될 글이라 옮겨 본다. 러시아어를 쓰고, 본인들을 러시아인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상황에서 이번 사태가 쉽게 진정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향후 러시아와 반러시아 국가들 간의 한 판 대회전까지는 아니겠지만, 힘겨루기 싸움이 엄한 희생자를 낳을 수도 있겠다. 시리아 사태보다는 나을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희망적이지만은 않은 현실이다.

 한겨레 기사: 크림반도 친러무장세력 주청사 점거…러 군사개입 빌미 되나

 허핑턴포스트 코리아 기사는 여기

 사태 추이와 역사적 배경이 궁금하다면 '변상욱의 기자수첩' 2월 26일자(링크) 참고.


Who’s who: These are the key figures and groups in Ukraine’s political crisis

Trying to understand what the hell is happening in Ukraine? Here's a breakdown of all the major players.

 이번 사태를 친러 세력과 친유럽 세력 간의 지정학적 줄다리기(tug-of-war) 싸움으로 치부해 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은 더 미묘한 차이가 있는 데다 더욱 기본적이기도 하다. 우크라이나의 한 저널리스트는 '유로마이단(Euromaidan)'으로 알려진 이번 시위가 우크라이나인들에게 의미하는 바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단지 2개월 전만 해도 우리는, 21세기 유럽의 심장부에서 인권을 외치는 사람들이 납치되고 고문받고 살해당할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우리는 개인의 권리가 존중받고, 자신의 시각을 자유로이 표현하고 경찰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는, 법원이 공정하고 매수되지 않으며, 사업할 때 실제 경쟁이 있고 정직한 방법으로 돈 벌 기회가 있는, 그런 정직하고 공정한 나라에서 살고 싶다.

    이것이 우리가 정부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정비(reset)하려는 이유다. 우리는 정부가 인간의 존엄성이 최고임을 아는 나라에서 살고 싶다.

 이번 시민의 봉기로 인해 우크라이나 정치 지형 내에 위치해 있는 전체 집단들이 반정부 세력으로 한데 뭉쳤으나, 반드시 같은 목표를 공유하지는 않는 집단으로 한데 모였다. 이번 시위는 국제사회의 관심 또한 불러모았다. 그리고 이 모두를 정리하기에는 길이 멀다.


친정부

1. 빅토르 야누코비치 Viktor Yanukovych, 대통령


Ukrainian President Viktor Yanukovych at an EU-Ukraine summit in Brussels in 2013. (John Thys/AFP/Getty Images)

2010년 2월 대통령에 당선 이후 (DW의 보도)

- 정권 유지를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

- 2004년 결선투표에서 부정선거 시비로 '오렌지 혁명'이 일어나자 물러난 전력이 있어 이를 되풀이하지 않으려 시도

-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8시간의 비공개 회담 이후 EU와의 경제협력 협상 중단. 당시 푸틴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경제에 얼마만한 피해를 줄 수 있는지와 2015년 선거에서 야누코비치의 재선 경합을 얼마나 어렵게 할 수 있는지" 설명했다는 보도가 나옴

- 현재 반정부 시위에 대한 그의 반응은 '이해한다'부터 '더욱강력한 조치'라는 위협까지 범위기 넓었고, 이에 따라 그의 진영 내에서도 의견이 갈렸다

 

2. 올리가르히(Oligarchs)와 지역당(the Party of Regions)


In 2010, Ukrainian billionaire Rinat Akhmetov paid $221 million for a penthouse at One Hyde Park in London. The world's most expensive apartment building has a McLaren showroom on the premises. (YouTube)

야누코비치 대통령과 여당인 지역당은 제철, 채굴 및 화학 관련 이익권을 조종하는, 주로 우크라이나 동부의 억만장자 엘리트 그룹(올리가르히)의 지지를 받고 있음. 이들은 지난 20년간 정부와 결탁해 이득을 챙김(CSMonitor 보도).

일부 올리가르히는 지역당 당원으로 우크라이나 의회(Verkhovna Rada) 의원 내지 의회를 통제하는 구성원이다. 최대 갑부인 리나트 아흐메토프(Rinat Akhmetov)가 대표적. 수십억 유로의 차관과 러시아와의 관세 동맹으로 인한 혜택을 견지하는 이들은 경제 위기로 인한 재산 피해를 우려. 아흐메토프는 야누코비치 대통령을 지지하면서도 경찰의 폭력 진압에는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올리가르히들은 공개적으로 친유럽을 표방하거나 유로마이단 시위대를 지지하기도 했다.

 

3. '베르쿠트(Berkut)' 부대 포함, 보안 경찰


Berkut riot police shoot rubber bullets toward anti-government protesters on Independence Square on Feb. 19, 2014 (Brandan Hoffman/Getty Images)

수도 키예프(Kyiv) 중심가 통제권을 재획득하려는 중에 시위대와 반복해서 충돌. '황금 독수리'를 뜻하는 시위진압 특수부대 베르쿠트(Berkut)는 시위대를 향해 불필요하게 잔혹하고 위협적으로 대응. 이들은 시위진압용 장비로 중무장하고 무장 수송차량의 지원을 받은 채 진압봉, 물대포, 섬광 수류탄, 자동화기를 포함한 총기 등을 사용한다.

2월 29일 휴전이 선포된 후 몇 시간 만에 보안 경찰은 실탄 사용을 허가하고 대통령은 육군 참모총장을 교체. 다음날 휴전이 깨진 뒤 전례없는 폭력 상황이 발생, 최소 70명의 시위대와 3명의 경찰이 사망.

이에 대응해 우크라이나 의회는 "무장 보안경찰이 독립 광장에 진입하거나 경찰이 무장하는 것 자체를 불법화하는" 결의안을 통과했다고 가디언(The Guardian) 지가 보도. 키예프의 한 분석가가 "하지만 시위진압 경찰이 의회의 권고를 따르고 주둔지로 물러날지는 현재로서 불분명하다"고 지적.

 

4. 자경단 '티투스키(Titushkos)'


"Tituskos" are pro-government vigilantes named after Vadym Titushko. (YouTube)

'티투스키(Titushkos)'는 친정부 자경단으로 우크라이나 동부 및 중부에서 고용해 시위대 사위에서 분쟁을 일으키기 위해 키예프로 실어나른 것으로 생각된다. 지난해 키예프에서 열린 친정부 시위에서 기자들을 공격하는 것을 영상으로 담은 젊은이 바딤 티투스키(Vadym Titushko)에서 따왔다.

BBC 보도로는 "티투스키가 종종 명백한 경찰 동조 아래 시위대는 물론 기자들을 공격한다는 보도가 무수히 있었다. 반정부 시위가 1월말 동부 지역으로 확산하면서 '티투스키'가 자포로지예(Zaporizhzhya)와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Dnipropetrovsk)의 시청사 내부로 이동한 뒤 산개, 바깥의 시위대를 공격했다"고 알려졌다.
 

5. 오플롯 Oplot (요새단)


The Oplot group, based in Kharkiv, describes itself as "the first fight club in Ukraine." (YouTube)

러시아 말로 '요새(Stonghold)'를 뜻하는 오플롯(Oplot)은 동부 하르키우(Kharkiv) 시의 이종 격투기 클럽 회원들로 구성된 친정부 성향 단체이다. "구 소련의 군사 유산을 옹호하는" 전직 경찰서장 출신 예프헨 질린(Yevhen Zhilin)이 이끌고 있다. 영국 BBC 방송은 오플롯에 대해 "반정부 시위를 반대하고 '경찰이 질서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키예프를 찾았다"고 말한 것에 주목했다.

이 단체의 업적에는 차로 시위대를 실어다 주고, 정부 관리들의 자산을 감시하고 거리를 봉쇄하는 차주들의 반정부 운동인 아우토-마이단(Auto-Maidan)의 행동가들이 시위 현장에 경력 배치하는 것을 막는 것을 봉쇄하는 것도 포함된다. 아우토-마이단 지도자 드미트로 불라토프(Dmytro Bulatov)를 납치, 고문한 혐의도 있다.


반정부

1. 반정부 시위자들


Pro-European activists protest outside the president's office in Kyiv, Ukraine. (Sergei Supinsky AFP/Getty Images)

한때 평화로웠던 시위는 진압 장비로 무장한 경찰과 자갈, 폭죽, 화염병, 그리고 이따금씩 총기로 무장한 시위대 간의 전면 충돌로 번졌다. 시위대 자체는 조직화한 당파원 및 비정파적인 행동가를 포함, 극단적인 단체 뿐만 아니라 다수의 평범한 주민들 등 다양한 집단이다.

글로벌포스트의 댄 펠레슈크(Dan Peleschuk) 특파원에 따르면 "폭력 상황으로 인해 다수의 반체제 투쟁에 앞장 선 규모는 작으나 영향력은 큰 급진 단체가 일어서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경찰의 대응은 많은 '평범한' 시위대를 급진적으로 변하게 했는데, 이들은 마이단 중인 무장 복면투사들을 (시위대를) 습격하는 보안 경찰로부터 지켜주는 합법적인 수호자로 보고 있다."

 

2. 야당 의원들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지역당을 잇는 3대 야당의 지도자 아르세니야체뉵(Arseniy Yatsenyuk), 비탈리 클리치코(Vitali Klitschko), 올렉 탸그니복(Oleh Tyahnybok)는 대통령 사퇴를 요구했는데, 이들은 2015년 대통령 선거의 강력한 후보자들인다.

포린 어페어(Foreign Affairs) 지는 이들과 시위대 간에 큰 간극이 존재함을 지적했다. 이들이 시위대를 통제할 수 있을지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아르세니 야체뉵 Arseny Yatsenyuk, 전우크라이나동맹 바트키프쉬나 Batkivshchyna (조국당)


Ukraine opposition leader Arseniy Yatsenyuk on Feb. 17, 2014 in Berlin, Germany.(Jochen Zick-Pool/Getty Images)

우크라이나 제2대 정당 조국당(All-Ukrainian Union Batkivshchyna)의 사실상 당수. 전 수상으로 수감됐다 풀려난 율리아 티모셴코(Yulia Tymoshenko)는 조국당의 상징적 지도자이다.

포린 어페어 지는 "조국당은 전통적으로 오렌지 혁명을 지지하고 야누코비치에 가장 적대적인 지역인 서부와 중부의 지지를 획득했다"고 보도했다. 야체뉵은 야누코비치에 맞설 가장 적임자 중 하나로 2010년 대선에 출마했다. 변호사이자 사업가로, 전직 외무장관, 재무장관, 의회 대변인, 우크라이나 중앙은행 부행장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정치경험을 했다. 수상직 제의를 받았으나, 트위터에 "우린 시작한 것을 끝내고 있다. 국민들이 우리의 지도자를 선택하지, 당신은 아니다"라고 적으며 이를 거절했다.


비탈리 클리치코 Vitaly Klitschko, 우크라이나 개혁민주동맹 Ukrainian Democratic Alliance for Reforms (UDAR)


Vitaly Klitschko, leader of the Ukrainian opposition UDAR (Punch) party, announced in October that he would run for president. (AFP/Getty Images)

클리치코의 별명은 철권 박사(Dr. Ironfist)로, 전직 세계 헤비급 복싱 챔피언으로 스포츠과학 박사 학위를 갖고 있는 그에게 어울린다.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시위대를 대표하는 "가장 저명한 우두머리"이며 친EU 정당인 우크라이나 개혁민주동맹(UDAR)을 이끌고 있다.

UDAR ('주먹 punch을 의미)는 반부패를 기반으로 운영 중이고 우크라이나 의회 내 제3대 정당이다. 워싱턴 포스트 지는 "클리치코는 오렌지 혁명이나 그 이후에 인기가 없었던 정부와 연대는 없지만, 야누코비치에 대해 맹렬한 비판을 가한 인물이다. 빨리는 9월, 클리치코는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EU와의 협정에 서명하지 않으면 사퇴해야 한다며 도발을 하고 있었다. 부총리직도 거절했다"고 적었다. 곁다리 얘기로, 그의 동생으로 마찬가지로 헤비급 복싱 선수인 블라디미르 클리치코(Wladimir Klitschko)는 미국 여배우 헤이든 패넷티어(Hayden Panettiere)와 약혼했다. 패넷티어는 트위터로 지지 메시지를 전달했다.


올렉 탸그니보크 Oleh Tyahnybok, 스보보다 Svoboda (자유당)


Leader of Ukrainian right-wing party Svoboda (Freedom) Oleh Tyahnybok in Lviv on Oct. 25, 2012. (Yuriy Dyachyshyn/Getty Images)

탸그니복은 우크라이나 제4대 정당으로 극우 민족당인 스보보다(자유당)를 이끌고 있다. 야체뉵과 클리치코와 달리 정부 직책 제안을 받지 않았다. 스보보다는 우크라이나의 전통적인 문화와 가치를 증진하고 외국의 영향을 거부하고 있는데, EU와의 협정은 지지하고 있다. 포린 어페어 지는 "하지만 스보보다의 더욱 급진적인 시각은 친유럽으로 보이는 입장과는 거북하긴 하지만 맞아 떨어지며 이는 우크라이나 국내 및 해외에서 지켜보는 이들이 우려하는 근원이 되고 있다"고 썼다. 스보보다는 일부에서는 파시스트 조직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탸그니복은 2004년 반유대 언사로 의회에서 축출됐다.


율리아 티모셴코 Yulia Tymoshenko, 전우크라이나동맹 바트키프쉬나 Batkivshchyna (조국당)


Ukraine's parliament just voted to release Former Prime Minister Yulia Tymoshenko. On Oct. 11, 2011, she was sentenced to seven years in jail for abusing her powers in a 2009 gas deal with Russia. (Sergei Supinsky/AFP/Getty Images)

전 수상인 율리아 티모셴코(Yulia Tymoshenko)는 조국당의 상징적 지도자이자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최대 정치적 라이벌이다. 부패 혐의로 7년형을 받고 투옥 중이었으나 의회 결의로 석방됐다. 우크라이나의 새 정치 지형에서 직접적인 역할을 더 많이 할 것으로 보인다. 2011년, '오렌지 혁명의 아이콘'이었던 티모셴코는 '권력 남용' - 많은 이들이 정치적 동기로 보는 - 혐의로 기소됐다. 투옥 중으로 건강 상태가 나빠 고생하고 있었지만, 현직의 야누코비치는 여전히 그녀를 위협 대상으로 고려했다. EU가 무혁 협정 서명 조건으로 티모셴코의 석방을 요구한 것도 야누코비치가 협상을 거절한 이유 중 하나이다.

 

3. 프라비 섹토르 Pravy Sektor (우파 진영)


Members of the Right Sector sit at a barricade at the Dynamo Kiev stadium in central Kiev on Feb. 21, 2014. (Louisa Gouliamaki/AFP/Getty Images)

우파 진영은 스보보다당, 트라이덴트(trident), 우크라이나애국당(Patriot of Ukraine) 및 기타 집단을 포함하는 극우 민족 및 신파시스트 집단에서 파생된 청년 무장단체이다. "최근 폭력 사태 뒤의 주요 요인"으로 얘기되고 있다. 한 회원은 BBC에 우판 진영이 지도자나 공식 멤버십이 없으며, 유로마이단 운동과 연계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경찰과 우발적인 충돌을 빚을 때 종종 마스크와 헬멧을 쓰고 작대기나 쇠막대를 들고 다닌다.

대부분 EU 가입을 지지하지 않지만, 현재 상황을 "국가의 뼈대를 파괴할(destroy the state skeleton)" 절호의 기회로 본다. 가디언 지는 이 신파시스트 단체가 정치적으로 실제 우려를 끼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들은 이번 운동에서 좀더 급진적인 부분에서 부정할 수 없는 선두그룹에 설 것이며, 반대집단에서 요구하는대로의 소규모(narrow) 권력 재배치에 만족하지 않을 것이다."

 

4. 공동 대의단(Common Cause)


BBC News interviews Olexsandr Danylyuk, leader of protest group "Common Cause." (YouTube)

변호사이자 행동가 올렉산드르 다니루크(Oleksandr Danylyuk)가 이끄는 공동 대의단(Common Cause)은 "키예프에서 법무부, 농업부 및 에너지부 같은 핵심 정부사무실 다수를 장악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공동 대의단은 조기 총선 및 대선을 지지한다. BBC는 "좀 더 온건한 반대파 지도자들은 다니루크와 그의 세력이 정부와의 협상에 차질을 주고 계엄령을 선포하는 구실이 될 수 있는 '도발 행위(provocations)'를 꾸몄다며 비난하고 있다"고 말했다.

 

5. 축구 클럽

BBC 보도: "1월말 우크라이나 전역에 대규모 시위가 폭력 충돌로 변하자, 많은 축구팬 단체에서 반정부 시위에 대한 지지를 선포하고 자경대 공격으로부터 시위대를 보호하기 위해 거리로 뛰쳐나갔다. 우크라이나에서 '울트라스(ultras)'로 알려진 축구광팬들은 종종 극우 성향을 띠며 역사적으로 경찰과 적대 관계에 있다. 티투스키(titushkos)로부터 키예프 주민들을 보호하려는 의도를 최초로 발표한 집단은 1월 21일의 다이나모(Dynamo) 키예프 FC였다. 최소 16개 클럽의 팬 단체가 반정부 시위에 대해 지지를 표명했고 시위대를 보호할 것을 맹세했다.


다른 영향자들, 우크라이나

1. 우크라이나 최고 의회 (베르코프타 라다 Verkhovna Rada)


Ukraine's parliament on Friday voted to return the ex-Soviet country to its 2004 constitution. (Genya Savilov/AFP/Getty Images)

야누코비치 대통령 지지세력이 지배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의회는 이번 정치 위기를 끝내기 위한 결정적인 수단을 강구하는데 실패한 것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금요일, 의회는 이를 뒤집고 대통령 권한을 제한하고 시위대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면에 대해 투표했다.

그 하루 전, 사실 상 비상 상태에서 시위대를 향한 유혈 진압 이후, 의회는 결국에 유로마이단에서 경력과 병력을 철수하고 시위대를 향한 무기 사용을 종식시키는 결의안을 통과함으로써 "야누코비치 대통령을 버스 아래로 쳐박아 버렸다”고 한다. 워싱턴 포스트 지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군사를 기동해 개입할 능력을 줄이고, 이를 행하더라도 민주적인 절차를 벗어난 것으로 지정하며, 소속 정당 내부에서의 지지가 약해지는 것을 대변한다.

 

2. 우크라이나 미디어


Prominent Ukrainian journalists describe what Euromaidan means to them. (YouTube)

"우크라이나 에스프레소(Espreso) TV를 포함한 다수의 지역 뉴스 방송국은 반대 진영 캠프에서 불어나는 군중, 큰 규모로 지핀 불, 그리고 다수의 폭발 상황을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방송했다"고 마더 존스(Mother Jones)는 적었다. 2013년 4월 다수의 우크라이나 톱 저널리스트들이 시민 뉴스 채널인 흐로마드스케.tv(Hromadske.tv)를 개발, 11월부터 방송을 시작했으며 시위 현장을 담아 왔다. 시위를 취재하는 우크라이나 및 해외 언론인들은 대부분 경찰로부터 습격을 받았고 적어도 1명이 숨졌다.

 

3. 우크라이나 올림픽 대표선수


On Feb. 20, Ukrainian skiier Bogdana Matsotska announced she was withdrawing from the 2014 Winter Games. (Olivier Morin/AFP/Getty Images)

러시아 소치에서 열리고 있는 2014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다수의 우크라이나 선수들은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폭력 상황에 대응해 공개적으로 출전을 포기했다. 일부 선수들은 검은색 팔띠를 두르게 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IOC는 이를 금지했다. 많은 선수들이 간단히 말해서 올림픽 현장을 떠났다. 스키 선수 보그다나 마초츠카(Bogdana Matsotska)는 코치(와 아버지)를 통해 "배리케이드에 있는 투사들과 연대 차원에서... 그리고 시위대를 향해 자행된 범죄 행위, 대통령의 무책임과 그의 하인 같은 정부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우리는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경기를 더 펼치는 것을 거부한다"고 말했다.

 

해외 영향자들

1. 러시아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R) and Ukrainian President Viktor Yanukovych shake hands in Moscow on Dec. 17, 2013. (AFP/Getty Images)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러시아로부터 150억달러의 원조 패키지 및 개스값 대폭 인하라는 당근책을 제시, '유라시아 동맹(Eurasian Union)' 찬성 차원에서 EU와의 더욱 긴밀한 동화를 거절할 것을 강력하게 압박해 왔다. 글로벌포스트는 이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왜 그렇게 정치적 및 경제적으로 투자를 하는지에 대한 이유 몇 가지를 약술했다.

1.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천연가스 파이프망 설계 계획을 갖고 있다

2.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소러시아[mini me](즉, 러시아의 정치적 봉토)로 간주한다

3. 우크라이나 없이는 유라시아 동맹도 없다

4. 러시아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역사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고 믿는다

5.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영향권 안에 있다고 생각한다

6.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여전히 러시아어를 한다

7. 러시아는 혁명에 위협을 느낀다

러시아는 이번 시위를 "외국의 지원을 받은 테러행위"라며 비난했고 우크라이나 정부가 동요를 진압하는데 "지원해주겠다"고 제안했다. 글로벌포스트의 수석 특파원 댄 펠레슈쿠는 "목요일 키예프 중심에서 격렬한 도심 투쟁이 계속되자,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는 평소와는 달리 강력한 내용의 성명을 통해 러시아는 정부기관이 '합법적이고 유효한' 상태로 남는 한 우크라이나와의 전략적 협력 관계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고 적었다.

 

2. 독일, 폴란드, 프랑스


Ukrainian opposition leaders, the Ukrainian president and the German and Polish foreign ministers on Feb. 21 in Kiev. (Sergei Supinsky/AFP/Getty Images)

2월 20일, 독일, 폴란드, 프랑스의 외무장관들이 우크라이나 정부와 반대파 사이 협상을 진행하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방문했다. 철야 협상 후에 EU의 외무부 대표들은 (국가 원수의 권한을 축소하는) 2004년 헌법을 재건하는 합의점을 중재하는데 도움을 보탰다.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특사단 출발 이전 "우리는 모든 것을 이어가기로 합의했고 따라서 우크라이나에서 폭력 상황이 증대될 일은 없다"며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대화했다.

 

3. 유럽연합


The European Union on Thursday agreed to impose a travel ban and asset freeze on Ukrainians with "blood on their hands", said Italian Foreign Minister Emma Bonino. (AFP/Getty Images)

2월 20일, 유럽연합은 28개 회원국에게 우크라이나에서 점증하고 있는 폭력 행위를 알리기 위해 '이례적인 회의”를 소집했다. 가디언 지 보도에 따르면 "캐서린 애슈톤 상급 대표가 주재한 이례적인 외무위원 회의에서, EU 외무 장관들은 폭력 행위와 과다한 공권력 집행에 책임있는 인사들에 대해 자산 동결 및 여행 금지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했다.

 

4. 미국


US President Barack Obama condemned violence against protesters in Kyiv while attending a summit in Mexico on Feb. 19. (YouTube)

2월 18일, "미 국무부는 우크라이나에서 점증하고 있는 폭력 사태와 보안 경찰이 취하는 잠재적인 "이례적(extraordinary) 수단"에 대해 경고하는 긴급 메시지를 배포했다"고 마더 존스는 보도했다. 백악관은 이 메시지에서 "우리는 자국 국민을 향해 자동 화기로 발포하는 우크라이나 보안 경찰의 모습에 격노하고 있다"고 명시했다. 2월 19일에는 오바마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부가 평화적 시위대를 폭력적으로 대한다면 국제사회로부터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1. 단순히 친러나 친유럽의 차원이 아니기에, 5월 예정된 총선과 그 결과를 두고 벌어질 미래의 일들이 그만큼 중요할 수밖에 없다 [본문으로]
by bigfool.in.jeju 2014. 2. 27. 18:3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개도국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인터넷으로 통하는 게이크웨이로 생각하는 것을 상상해 보라. 이메일 계정, 위키피디아를 사용하고 날씨 정보와 음식값을 알아보려고 페이스북에 로그인을 한다.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는 추가적인 서비스를 원하면, 간단하게 클릭 한 번으로 구매할 수 있다. 페이스북을 통해서."


 기사가 말하고 있는 내용이다.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가 Mobile World Congress(MWC)에서 발표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 접근성이 떨어지는 나라 사람들이 쉽게 인터넷을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nternet.org 이니셔티브 이야기다. 이를 통해 페이스북은 이용자와 클릭수를 높이고 이와 더불어 광고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는 거다.

 최근 190억달러에 왓츠앱(Whatsapp)을 인수한 것도 그 일환이라고 글쓴이는 해석한다. 수익 창출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야 하는 왓츠앱에게 현금을 지원하면서 이를 수익으로 연결하겠다는 복심이라는 거다. 인터넷 기반이 약한 나라에서는 왓츠앱의 SMS 기반 서비스가 유용했기에 그만큼 가입자도 많았다고 볼 수 있다.

 페이스북 전화기가 미국 같은 선진 인터넷 시장에서는 실패할 수도 있으나, 아직 2G나 3G 망을 쓰고 있고 있는 개도국에서 페이스북 전화기는 인터넷을 쓰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 기사의 시각이다.

 추가로 10억의 인구가 인터넷을 쓰게 될 경우, 이들이 (비록 가진 건 별로 없으나 1인당 적은 돈을 쓰더라도) 시장 매출과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은 어마어마한 것이다.

How Facebook Plans To Take Over The Internet

Mark Zuckerberg's plans for Internet.org extend far beyond providing Internet access for all.

Selena Larson, February 24, 2014


by bigfool.in.jeju 2014. 2. 26. 15:3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올 겨울 영국에선 유난히 비도 많고 폭풍우도 세게 쳐서 피해가 많았는데, 기사 내용처럼 우연찮게 고대 삼림 유적이 발견되기도 했네요. 4천500년 전까지는 살아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니, 단군 조선 건국 시기와 비슷하군요.


Prehistoric forest arises in Cardigan Bay after storms strip away sand

Skeletal trees of Borth forest, last alive 4,500 years ago and linked to lost kingdom of Cantre'r Gwaelod, appear at shoreline


Borth forest remains, Cardigan Bay
Gales hitting the west coast of Wales have uncovered these oak, pine, birch and alder trees dating to 6,000 years ago. Photograph: Keith Morris/LNP

4천500여년 전 죽은 참나무(oak) 수백 그루의 가지를 포함하는 으스스한 풍경의 선사시대 삼림이 강력한 폭풍으로 수천 톤의 모래가 씻겨내린 뒤 카디건(Cardigan) 만 해변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보쓰(Borth) 삼림은 한때 수㎞에 걸쳐 있었다. 보쓰와 이니슬라스(Ynyslas) 사이 습지에서 기후 변화와 수위 상승으로 인해 이탄(泥炭), 모래 그리고 염수 층 아래 파묻히기 전 까지 말이다.

과학자들은 2010년처럼 나무 유적이 방문객 센터 반대편에 (접근이) 편하게 노출이 될 정도로 폭풍이 매우 심한 겨울, 이따금씩 노출됐던 그루터기 사이에서 소나무, 오리나무, 참나무와 자작나무를 확인했다.

앙상한 모습의 나무는 파도 아래 잠겨버린  잃어버린 왕국 칸트레르 그와엘롯(Cantre'r Gwaelod)이라는 지역 전설이 생겨나게 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무는 4,500~6,000년 전 수위가 상승하고 두꺼운 이탄층이 형성되면서 성장을 멈췄다.

올해에는 잃어버린 삼림의 커다란 띠가 드러났다. 지난 달 고고학자들은 인근에서 목재 통로가 폭풍으로 노출된 것 또한 발견했다. 이는 폭풍 발생 후 새로운 발견거리가 있는지 보기 위해 해변 산책을 나선 로스 쿡(Ross Cook)과 디애나 그룸(Deanna Groom), 웨일즈 고대역사기념물왕립위원회(Royal Commission on the Ancient and Historical Monuments of Wales) 소속, 이 찾은 것이다. 바로 세운 기둥에 걸린 잡목 짧은 가지를 걸쳐 놓은 형태였다.

연대 측정 결과 3,100~4,000년 된 것으로 나왔는데, 이 지역 사람들이 점진적으로 물이 차 오르는 환경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내서 지은 것이다.

2년 전 인간과 동물 발자국이 고대 화로에서 불탄 돌이 흩어진 것과 더불어, 이탄층의 상부 경화층에 보존된 채 발견됐다.

현재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1천300만파운드(약 233억원)를 들인 해안 보호 체계가 2012년 가동됐지만, 극적인 선사시대 유적이 최근 노출된 것이 증명하듯이, 보쓰 해안은 여전히 폭풍과 밀물로 완전히 발가벗겨지고 있는 중이다.


by bigfool.in.jeju 2014. 2. 26. 15:0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애플(Apple)이 우리가 알고 있는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같은 물리적 상품보다는 iOS를 이용한 가상의 e-커머스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더 강화하고 있다는 비즈니스 인사이더의 기사 내용입니다.

'스마트폰 플랫폼을 이용한 거대한 기회(A big opportunity on the platform)'를 잡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에 있으며,

 아이폰 5S의 지문 인식 기능도, 단순히 분실 등에 대비한 보안 문제가 아니라, e-커머스 진흥을 위한 방책의 하나라는 점을 기사에서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시장에서 손가락만 빨고 있는 회사에서는 마냥 부러워할 수밖에 없는 내용인 것 같다는.





Read more: http://www.businessinsider.com/apple-ecommerce-and-mobile-payments-plans-2014-2#ixzz2uDI6E6Io

깜짝 퀴즈: 애플 사에서 판매 총액으로 볼 때 가장 급성장하고 있는 제품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라고 생각했다면 틀렸다. 양 제품의 판매 성장률은 감소하고 있다.

실제로는 아이튠즈, 아이북스 및 앱 스토어를 통한 e-커머스다. 추가 상품, 즉 애플 상품을 통해 판매하는 비애플 '물건'(stuff)의 판매는 2014년 1분기에만 19% 늘어난 44억달러였다.


by bigfool.in.jeju 2014. 2. 24. 14:2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세계 유수의 굴사(堀寺). 아쉽게도 한 군데도 못 가봤네요.

 사진이 아주 멋지게 나왔습니다.

 먼 데 말고, 제주도에도 산방굴사가 있긴 한데.


Buddhist Cave Temples Are Jaw-Droppingly Gorgeous (PHOTOS)

Posted: Updated: 


닷도타웅 굴 Datdawtaung Cave

in the cave leopard
미얀마, 만달레이 Mandalay 지방


카오 루앙 굴사 Khao Luang Cave Temple
temple cave thailand
태국, 펫부리 Phet Buri


핀다야 굴 Pindaya Caves
pindaya cave
미얀마, 핀다야 Pindaya


윈강 석굴 Yungang Grottoes
yungang
중국, 산시


왓 탐 에라완 Wat Tham Erawan
temple cave thailand
태국, 농 부아 람푸 Nong Bua Lamphu 지방


사단 굴 Sadan Cave
cave temple burma
미얀마, 카인 Kayin 주


엘로라 석굴 Ellora Caves
ellora cave temple
인도, 마하라시트라 Maharashtra


야테 피얀 석굴 Yathae Pyan Cave
myanmar cave
미얀마, 카인 Kayin 주

by bigfool.in.jeju 2014. 2. 21. 17:2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미국 뉴욕타임즈에서 이번 소치동계올림픽 여자 피겨스케이팅 프리 부문 김연아 선수와 아델리나 스토니코바 선수의 연기 결과를 분석했습니다. 피겨스케이팅 코치이자 미국팀 기술전문가인 애덤 리브(Adam Leib)의 눈을 통해서입니다.

 우리의 시각에선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분석입니다. 링크로 가 보면 사진 자료와 부문별 점수 비교표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기사(Russian Is Surprise Winner in Women's Figure Skating)에서는 엇갈린 반응을 전하면서도, 현행 채점제도가 스토니코바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점도 지적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예술성을 희생하고 수학(적 채점)을 선호하는 점수제라고 불만을 제기한다'는 내용도 적었습니다.


How Sotnikova Beat Kim, Move by Move


 프로그램 구성 요소 대부분에서 두 선수가 박빙을 이뤘지만, 몇몇 부분에서 스토니코바가 이미있는 선두(a significant lead)를 달렸다는 내용입니다.

 구체적으로, 더블-트리블 콤비네이션에서

'스토니코바 선수는 가장 난이도가 높은 더블 점프로 더블 악셀을 시도, 기본 점수 가치가 더 높았다. 흐름이나 높이 거리 등이 좋아 높은 점수를 받았다. 프로그램 후반에 콤비네이션을 시도해서 10% 가산점을 받았다'

'김연아 선수의 더블 점프[각주:1]는 평이한 것이라 기본 점수 가치가 낮았다. 들어갈 때는 단순했고, 끝날 때 스피드가 줄었다'고 했습니다.

 풋워크와 레이백 스핀에서는

 스토니코바는 레벨4, 김연아는 레벨3 난이도 연기를 펼쳤다. 두 요소의 복합 수행에서 김연아 선수가 기본 점수에서 거의 1점 뒤진 상황이었음을 의미한다. 레이백 스핀에서, 스토니코바가 속도와 집중도를 유지한 채 쉽게 위치를 바꾸어서 높은 점수[각주:2]를 받았다.

  1. 트리플 살코 [본문으로]
  2. 김연아 선수보다 거의 2점을 더 받았다 [본문으로]
by bigfool.in.jeju 2014. 2. 21. 14:1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커피에 관한 재미있는 상식들. 개인적으로는 아는 게 몇 개 없었다.

 링크 들어가면 사진도 볼 수 있다.


15 Things You Didn't Know About Coffee


Posted: Updated: 

"맛없는 커피라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 - 데이빗 린치

Espresso your devotion of loving coffee a latte (sorry!) by learning these 15 facts.

TK TK gifs


1. 커피가게에서 나는 멋진 향이 사실은 가짜일 수 있다.

일부러 커피향이 나도록 하는 기계(ScentAir)도 있다. 손님을 끌기 위해 향을 이용하는 일종의 '아로마콜로지'(aromachology) 전략의 일환. 원두 수입 컨테이너에도 향을 더하기도 한다.

적어도 '가짜 향'의 입자는 진짜 원두에서 추출했다니 다행이랄까?

2. 유럽인들은 커피를 원래 '아라비아 와인'이라고 불렀다.

커피의 어원은 아라비아 말로 '카흐왓 알-분(qahhwat al-bun)'으로 '콩으로 만든 와인'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카흐와흐(qahwah)'로 바뀐 뒤 터키에서 '카ㅎ베(kahveh)'가 된 뒤 최종적으로 네덜란드에서 '코피(koffie)', 이탈리아에서 '카페(caffe)'가 됐다.

커피는 터키에 영향을 많이 끼쳤다. '아침식사'를 뜻하는 '카ㅎ왈테(kahvalti)'는 '커피 마시기 전(before coffee)'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갈색을 의미하는 '카ㅎ베렝게(kahverengi)는 커피의 터키말인 '카ㅎ베(kahveh)'에서 파생했다.

3. 영화 '파이트 클럽' 모든 장면에 스타벅스 컵이 등장한다.

거대한 회전구에 의해 커피숍이 파괴되는 장면 빼고는 모든 장면에 등장한다.

4. 카페 소스페조(Caffè sospeso)가 인류애에 대한 믿음을 재건할지도 모른다.

이탈리아 말로 '달아둔 커피(Suspended/Pended Coffee)'를 뜻하는 카페 소스페조(Caffè sospeso). 미래의 손님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추가로 한 잔을 더 계산하는 것이다. 나폴리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제는 국제적으로 알려졌다.

2013년, 캐나다 에드먼턴(Edmonton)의 팀 호튼스 카페(Tim Hortons)에서 한 익명의 손님이 500잔 값을 치뤘고, 이것이 확대되면서 30여개 지역에서 1만잔으로까지 커졌다.

5. 가장 오래 산 것으로 기록된 고양이 2마리는 매일 커피를 마셨다.

기네스북에 등재된 '가장 오래 산 고양이'의 이름은 크림 퍼프(Creme Puff, 슈크림)로, 2005년 죽었을 때 38세였다. 주인인 제이크 페리(Jake Perry)는 고양이에게 매일 아침 베이컨과 계란, 브로콜리와 함께 커피를 먹였다. 페리가 이전에 키웠던 할아버지 렉스 앨런(Grandpa Rex Allen)도 기록 보유묘였는데, 같은 식단으로 34세까지 살았다.

6. 일본의 한 스파에선 커피에서 수영할 수 있다.

일본의 온천 테마파크 유넷상에서는 와인, 초콜릿, 녹차, 청주와 커피로 목욕을 할 수 있다. 입장료는 2천800엔(약 US$27). 라멘 목욕도 가능.

7. 전설에 의하면, 커피가 악마의 음료가 아님을 교황에게 확신시키는 데는 딱 커피 한 모금만 들었다.

교황 클레멘스 7세인지 8세인지 확실치 않은데, 여행 작가이자 대학 교수인 프랜시스 헤이즈(Frances Hayes)의 책 '세계 여행 1년(A Year in the World)'에 소개됐다.

8. 커피잔 받침은 원래 식은 뒤 마시기 위해 사용됐을 수도 있다.

이것도 확실치는 않지만, 18세기 무렵 찻잔 받침에 커피를 부어 마셨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받침이 훨씬 더 깊었고, 표면적이 넓어 커피를 더 빨리 식히기 좋았다.

9. 조지 워싱턴이란 사람이 인스턴트 커피를 발명했다.

최초로 물을 이용한 '인스턴트 커피' 제조법은 1901년 시카고의 화학자 사토리 카토(Satori Kato)가 발명, 최초로 대량생산으로 인스턴트 커피를 발명한 것은 조지 워싱턴이라는 이름의 사람. 그리 좋다는 반응을 얻진 못했으나, '레드 E 커피(Red E Coffee)'라는 이름의 커피는 1차 세계대전에 참전 미군에 지급됐다.

10. 스타벅스 주제는 소설 '백경'에서 따왔다.

원래 회사명을 피쿼즈(Pequod's)[각주:1]로 하려 했으나, '피쿼즈 한 잔 하세요'란 표어를 듣고 나서는 스타벅스(Starbuck)[각주:2]로 바꿨다. 인어 로고로까지 이어지는 항해 관련 주제는 '커피 항해사(史)'에 부흥하겠다는 의도를 담았다.

11. 원래 뉴욕 증권거래소는 건물은 월가의 커피집이었다.

뉴욕증권거래소가 개소할 당시 건물은 1794년 개점한 톤틴 커피집(Tontine Coffee House)였다. 이 건물은 1835년 불에 타 전소했다.

개소 당시 명칭은 '뉴욕 증권 & 교환소'였으나 1863년 증권 거래가 증가하고 다른 기능이 감소하면서 '&'을 떼냈다. 톤틴 커피 하우스는 1817년까지 무역의 중심이었으며, 이 해 월가 40번지 다른 건물로 이전했다.

12. 지구에서 최북단의 땅덩어리는 커피 클럽 섬이라고 불린다.

커피 클럽 섬, 또는 카페클루벤(Kaffeklubben) 섬은 그린란드 이북에 위치한 조그만 섬이다. 탐험가인 로버트 피어리(Robert Peary)가 1900년 처음 발견했는데, 1921년 덴마크의 탐험가 라우게 코흐(Lauge Koch)가 해당 지역 지도를 만들 때까지 명명되지 않았다. 이 이름은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정기적으로 열린 지리학자들의 비공식 '커피 클럽'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13. 코카콜라 사에서 '조지아(Georgia)'라는 이름의 캔커피를 만든다.

코카콜라 사는 일본, 싱가폴, 한국, 인도, 바레인 등지에서 구입가능한 '조지아'라는 캔커피 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14. '컵 오브 조(Cup of Joe)'와 아메리카노라는 용어의 기원에 대해 부정확한 이야기를 들었을 것이다.

'아메리카노'란 용어가 미군들이 2차 세계대전 때 에스프레소를 희석한 데서 기인했다는 얘기도 있지만, 1970년대까는 등장하지 않았다. 누구도 '아메리카노'란 말이 어떻게 생겼는지 결정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컵 오브 조(cup of Joe)'[각주:3]가 커피를 마시는 G.I. 조(Joe)에서 왔다는 얼토당토 않은 얘기도 있다. 사실 확인 웹사이트 스노프스(Snopes)에서는 커피를 뜻하는 낡은 속어 '저목(jamoke)'의 이용한 표현 '컵 오브 저목(cup of jamoke)이 변형되면서 '컵 오브 조'가 됐다고 믿는다.

언어학자인 마이클 퀴니언(Michael Quinion)이 에르드먼(Erdman)이란 사람이 1931년 펴낸 퇴역 장교 교범(Reserve Officer's Manual)에 '저목, 자바(Java), 조, 커피. 원래 최고의 커피 생산지인 자바와 모카(Mocha)에서 파생'이란 대목을 발견한 것도 있다.

15. 커피를 마시면 알코올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커피가 알코올 관련 병인 간경변 발병 위협을 감소한다는 것이 발견됐다. 한 연구에서는 "매일 한 잔씩 마시는 커피가 알코올 간경변 발병을 22% 줄인다"는 것을 찾아냈다. 최근 이탈리아에서 진행한 연구에서는 커피를 마시면 간암 발생을 40%까지 줄일 수 있고, 매일 서너 잔씩 마시면 이를 50%까지 줄일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1. 허먼 멜빌의 소설 '백경'에서 에이햅 선장의 배 이름 [본문으로]
  2. 에이햅 선장에게 백경 추적을 중단할 것을 경고한 1등 항해사의 이름 [본문으로]
  3. 커피 한 잔 [본문으로]
by bigfool.in.jeju 2014. 2. 20. 16: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절대 아침에 이메일 확인하지 마라"는 책을 쓴 줄리 모겐스턴(Julie Morgenstern)[각주:1]의 얘기.

 일어나자마자 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가능하면 점심 시간 이후에나 확인하라는 것이 내용.

 출근해서 읽는 이메일 내용 때문에 신경 쓰여서 정작 중요한 일을 못할 수도 있기 때문.

 스트레스 받게 하는 내용도 있으니, 그날 할 일은 미리 정해서 여기에 집중하라는 거다.


The 1 Thing Super Successful People Never Do In The Early Morning

 | by  Alexis Kleinman

Posted: Updated: 


  1. 1989년 이래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페덱스, MS 같은 대기업 컨설턴트로 일했고, 포브스와 뉴욕타임스에 회사와 시간 관리에 관한 저서를 썼다. [본문으로]
by bigfool.in.jeju 2014. 2. 20. 14:32
| 1 2 3 4 5 6 ··· 8 |